개인 프로젝트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가상 서버로 사용하기위해
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보았다!
신규 사용자의 경우 12개월동안 무료로
EC2를 사용할 수 있는 프리티어를 제공한다고 하여
이를 생성해보기로 했다.
1. 지역이름 설정하기
이 지역은 접속하는 서버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어느 지역을 선택해도 상관없다고 합니다.
하지만 내 서버에 접속하는 사람들은 서울에 인접해있을것이기때문에 서울로 설정해줬다.

2. EC2 인스턴스 생성메뉴 접근
본격적으로 EC2 인스턴스 생성을 위해 해당 메뉴로 접속합니다.
"서비스 > 컴퓨팅 > EC2"

3. 인스턴스 생성하기
EC2 대시보드 화면에서 [인스턴스 시작] 버튼 클릭합니다.

4. 인스턴스 이름 입력
원하는 이름을 입력합니다.

5. 운영체제 선택
ubuntu 기반의 운영체제를 선택하고,
1년간 사용할 수 있는 프리티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선택해줍니다.
"프리티어 사용 가능" 조건이 붙어있어야 요금이 과금되지 않습니다.
이는 "t2.micro"로써 기본으로 선택되어있습니다. 이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
6. 키페어 생성
키 페어는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는 강력하게 설정된 비밀번호입니다.
키페어 이름은 원하는것으로 설정해주고, 생성된 키 파일을 잘 보관해줍니다.
이는 SSH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인스턴스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되는 파일입니다.


7. 스토리지 구성
기본 8GB ~ 30GB 까지 용량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용량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은 향후 유료 전환시 상대적으로 높은 과금이 발생됩니다.
저는 많은 용량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 예상하고,
8GB로 설정해두었습니다.
설정이 모두 끝났다면 [인스턴스 시작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8. 인스턴스 생성 완료
인스턴스 생성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.
[모든 인스턴스 보기] 버튼을 클릭하면 인스턴스 목록에서 내가 생성한 인스턴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'Dev-Tool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AWS] AWS EC2 인스턴스 SSH 연결하기 (Bad permissions 에러 해결기까지..~) (0) | 2024.08.21 | 
|---|---|
| [Git-Hub] 커밋 메시지 규칙 (0) | 2024.06.24 | 
| [VSCode] npm 오류 : npm error code ENOENT (0) | 2024.06.21 | 
| [VSCode] npx 오류 :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,,~ (1) | 2024.06.21 | 
| [Git-Hub] Token 발급하기 (0) | 2023.11.14 |